작성일 : 13-02-18 14:20
[KEIT] 2013년도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신산업·정보통신산업·주력산업 분야)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
|
글쓴이 :
최고관리자
조회 : 9,544
|
2013년_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_신규_공고문.hwp (169.5K) [27] DATE : 2013-02-18 14:20:16 | 과제제안요구서(RFP)_최종.hwp (3.6M) [23] DATE : 2013-02-18 14:20:16 |
지식경제부공고 제2013 - 45호
2013년도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신산업·정보통신산업·주력산업 분야)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신산업·정보통신산업·주력산업 분야)의 2013년도 신규지원 대상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해당 기술개발과제를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3년 2월 15일 지식경제부장관
- □ 사업목적
- - 국가 성장전략에 기반한 전략기술 분야의 핵심·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집중 지원을 통해 미래신산업을
육성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원천기술을 확보하며 주력기간산업의 산업경쟁력을 제고하여 미래 신성장동력을 창출
- □ 지원대상 분야
- - 10년 이내에 기술적 파급효과가 크고 산업 기술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제고 할 수 있는 부가가치가 높은
핵심기술, 원천기술 및 엔지니어링 기술
- ※ 신산업융합원천기술 분야
- - 산업융합기술(IT융합, 나노융합), 바이오, 의료기기, 로봇, 지식서비스
- ※ 정보통신산업융합원천기술 분야
- - 전자정보디바이스, 정보통신미디어, 차세대통신네트워크, SWㆍ컴퓨팅, 디지털콘텐츠, USN
- ※ 주력산업융합원천기술 분야
- - 수송시스템, 제조기반, 산업소재, 플랜트엔지니어링
- Ⅰ. 지원내용
-
- □ 지원규모 및 기간
-
지원규모 및 기간
구분 |
신산업 분야 |
정보통신산업 분야 |
주력산업 분야 |
예산 |
373.61억원 |
602.25억원 |
300억원 |
지원규모 |
과제별 특성에 따라 달리함 (과제제안요구서(RFP) 참조) |
지원기간 |
과제별 특성에 따라 5년 이내 |
- □ 정부출연금 및 민간부담금 현금비율
- ○ 주관기관 형태가 중소·중견기업 단독인 경우 정부출연금 지원비율은 연도별 사업비의 75.0% 이하이고, 연도별 민간부담금 현금비율은 민간부담금 총액의 10% 이상임
- ○ 주관기관 형태가 복수일 때 그 중 일부만 중소·중견기업일 경우 또는 중소·중견기업이 주관기관이 아닌 경우는 아래 표에 따름
-
정부출연금 및 민간부담금 현금비율
참여기업수 |
참여기업1) 유형 및 구성 |
정부출연금 지원비율 |
민간부담금 현금비율 |
1개 |
중소기업2) 또는 중견기업3) |
연도별 사업비의 75.0% 이하 |
연도별 민간부담금(현금+현물)의 10% 이상 |
대기업4) |
연도별 사업비의 50.0% 이하 |
연도별 민간부담금(현금+현물)의 20% 이상 |
2개 이상 |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 2/3 이상 |
연도별 사업비의 75.0% 이하 |
연도별 민간부담금(현금+현물)의 10% 이상 |
그 밖의 경우 |
연도별 사업비의 50.0% 이하 |
연도별 민간부담금(현금+현물)의 20% 이상 | - 1) ‘참여기업’이란 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의 형태로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을 말하며, 사업의 결과를 실시하거나 활용하기 위해 사업비의 일부를 부담하고 사업에 참여
2) ‘중소기업’이란「중소기업기본법」제2조제1항 및 같은법 시행령 제3조(중소기업 범위)에 따른 기업임 3) ‘중견기업’이란 「산업발전법」 제10조의2 제1항의 요건을 모두 갖춘 기업임 4) ‘대기업’이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14조제1항에 따른 상호출자제한기업 집단에 속하는 기업임 - ○ 정부 이외의 자는 기술개발사업비 중 정부출연금 이외의 비용을 부담하여야 하며, 민간부담금 중 현금 부담비율은 상기 정부출연금 및 민간현금 부담비율에 따름
- ○ 수행기관(주관기관, 참여기관)중 중소·중견기업에 배분하여야 하는 정부출연금 배분 비율을 30%이상으로 권고함
- ○ 대기업은 중소·중견기업의 참여형태 및 구성비율과 관계없이 다음과 같이 정부출연금을 지원하고 민감부담금 부담하여야 함(동일과제에 2개 이상의 대기업이 참여하는 경우에도 각 대기업별 아래기준을 적용)
- - 대기업은 연도별 대기업이 사용하는 사업비의 50% 이하로 정부출연금을 지원함
- 대기업은 연도별 대기업이 부담하는 민간부담금의 20% 이상을 현금으로 부담하여야함
- □ 기술료 징수
- ○ 기술료 징수 대상
- - 장관은 과제 종료 후 평가결과 불성실수행이 아닌 과제의 성과를 실시하고자 하는 영리 주관기관 또는 영리 참여기관에 대하여 기술료를 징수
* 영리 주관기관 또는 영리 참여기관은 사용한 정부출연금에 대해서만 기술료 납부 - ○ 기관유형(비영리/영리)별 기술료 징수방식
- - 영리기관은 과제 종료 후 정액기술료 방식과 경상기술료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술료를 전담기관에 납부
* 단, 종료 후 성실수행으로 평가된 과제를 수행한 영리기관은 정액기술료 방식으로 납부 - 비영리기관은 소유한 연구개발결과물을 실시하려는 자와 실시계약을 체결하고 기술료를 징수 가능. 이 경우 징수액의 9%를 전담기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을 통해 과학기술인공제회에 출연(대학 제외) * 실시권의 범위와 내용, 기술료 금액 및 납부방법 등에 관하여는 당사자간 자유로운 합의에 따름 - ○ 영리기관의 기술료
- - (정액기술료) 실시기업은 아래의 정액기술료를 5년 이내의 기간에 1년 단위로 균등하게 분할하여 전담기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 납부하여야 함
-
주관기관 유형에 따른 정액기술료
실시기업 유형 |
정액기술료 |
대기업 |
정부출연금의 40% |
중견기업 |
정부출연금의 30% |
중소기업 |
정부출연금의 10% | - - (경상기술료) 실시기업은 아래의 착수기본료 및 사업수행결과를 활용하여 발생한 매출액에 대한 경상기술료를 정부출연금에 도달할 때까지 매출이 발생한 회계연도부터 10년간 전담기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 납부하여야 함
-
실시기업 유형에 따른 경상기술료
실시기업 유형 |
착수기본료1) |
경상기술료 |
대기업 |
사용한 정부출연금의 10% |
매출액의 5.00% |
중견기업
|
사용한 정부출연금의 10% |
매출액의 3.75% |
중소기업 |
사용한 정부출연금의 5% |
매출액의 1.25% | - 1) ‘착수기본료’는 기술료 확정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함
- - (기술료 감경) 실시기업이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이고 “혁신성과”로 평가된 과제에 대해서는 해당 실시기업이 납부할 기술료의 30%를 감경 가능하고, 실시기업은 감경받은 기술료를 참여연구원에 대한 전시회 견학, 연수, 교육 등 인센티브 재원으로 사용하여야 함
- □ 기업소속 참여연구원의 인건비는 현물계상이 원칙이나 다음 기준에 따라 현금으로 산정 가능
- ○ 고용창출을 위한 중소기업 신규채용인력 인건비
- - 중소기업의 경우, 해당 과제 수행을 위해 신규로 채용하는 전문학사학위 소지자 이상(2013년 8월 31일까지의 졸업예정자 포함) 연구원의 참여율에 따른 인건비를 현금 산정할 수 있음
- * 신규채용 연구원은 사업공고일 기준 6개월 이전(2012년 8월 14일 이후)부터 과제 종료 시까지 채용한 신규인력임
* 중소기업 신규채용 연구원의 인건비 현금 산정은 채용일부터 과제 종료일까지 가능하며, 이때 인건비 현금 집행은 과제 시작일부터 과제 종료일까지 가능 - ○ 상기에 의거 채용한 신규 참여연구원의 현금 인건비가 해당과제 수행기관 연차별 인건비 총액(현금+현물)의 30% 이상일 경우 신규 참여연구원 현금 인건비 만큼 기존인력 인건비를 현금으로 산정할 수 있음.
- - 과제선정 후 신규 채용인력의 현금 인건비가 인건비 총액의 30%미만으로 집행된 경우는 정산시 기존인력의 현금 인건비를 전액 환수함
- 또한 신규 채용인력의 현금 인건비가 인건비 총액의 30%이상 집행되었더라도 사업계획서보다 적게 집행했을 경우 해당 차액만큼 기존인력의 현금 인건비를 환수함 -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사업비 산정, 관리 및 사용, 정산에 관한 요령」별표 제1호의 인건비 현금 인정 분야의 과제를 수행하는 중소기업 소속 연구원의 참여율에 따른 인건비
-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 지원특별법」에 따라 연구개발서비스업자로 신고(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인증)된 기업 소속 연구원의 참여율에 따른 인건비
- □ 중소·중견기업 대상 연구지원전문가 지원제도
- ○ 중소·중견기업에서 과제 지원을 위해 신규채용한 인력이 소정의 연구지원전문가 교육을 수료할 경우, 1명에 한해 사업비 중 간접비에서 해당 인력의 인건비를 현금 산정할 수 있음
※ 단, 단일기업이 6개이상 과제수행 시에 한해 2명까지 채용을 인정함
- - 신규채용인력은 사업공고일 기준 6개월 이전(2012년 8월 14일 이후)부터 채용한 경우에 인정되며, 반드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에서 실시하는 소정의 교육을 이수하여야만 지원대상으로 인정됨
- 과제 참여율과 내부인건비 기준을 반영하여 인건비 계상이 가능하되, 단일기업이 여러 과제(5개이하)를 수행하는 경우 참여율 합계는 100%로 한정
- □ 연구실 안전관리비 계상
-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동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에 따라, 간접비 내에 연구실 안전관리비를 직접비 중 인건비와 학생인건비 합계의 1%이상 2%이하로 책정
- Ⅲ. 지원분야
-
- □ 과제 유형
- ○ 일반형 과제: 총 1개 과제로 구성되어 주관기관과 참여기관이 공동으로 수행하는 과제
- - 주관기관이라 함은 해당 과제를 주관하여 수행하는 기관(기업 포함)
- 참여기관이라 함은 해당 과제에 참여하여 주관기관과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기관(기업 포함) - 총괄책임자라 함은 해당 과제를 총괄하여 수행하는 책임자 - ○ 통합형 과제: 세부과제의 기술개발결과가 상호연계되어 사업화 또는 상품화되는 과제로 총괄과제, 세부과제의 컨소시엄으로 구성하여 수행하는 과제
- - 총괄주관기관이라 함은 수행과제가 총괄과제 및 세부과제로 구분되는 경우에 총괄과제의 관리를 수행하는 주관기관
- 세부주관기관이라 함은 수행과제가 총괄과제 및 세부과제로 구분되는 경우에 세부과제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주관기관 - 총괄주관책임자라 함은 수행과제가 총괄과제 및 세부과제로 구분되는 경우에 총괄주관기관에 소속되어 수행과제 전체를 관리하는 총괄책임자 - ○ 병렬형 과제: 세부과제의 기술개발 결과가 독립적으로 사업화 또는 상품화되는 과제로 총괄, 세부과제가 각각 단독으로 신청하여 총괄, 세부과제 단위로 경합 평가 (선정된 세부주관기관과 총괄주관기관간의 협약체결 후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과제수행)
- ※ 병렬형 과제의 총괄과제가 미신청된 경우, 평가위원회를 통해 지원가능으로 분류된 세부과제들의 수행기관중에서 총괄주관기관을 선정하여 추진 될 수 있음
- □ 지원대상 과제 목록
-
산업 |
분야 |
순 번 |
과제명 |
기술료 |
주관 기관 |
과제유형 |
비고 |
산 업 융 합 기 술 |
나노융합 |
1 |
[총괄] 결로방지 및 단열성 향상을 위한 나노소재 기반 발열량 300W/m2 이상, 1m2 급 대면적 투명 발열 창호 시제품 개발 |
비징수 |
중소·중견 기업 |
통합형 |
표준화 연계 |
[1세부] 나노소재 기반 발열량 300W/m2 이상, 1.2m×3m 급 대면적 투명 면상 발열 유리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표준화 연계 |
[2세부] 나노소재 기반 온도차비율(TDR) 0.1 이하, 열관류율 0.6W /m2K 이하, 1m2 급 대면적 발열 창호 시제품 개발 |
징수 |
기업 |
시스템형 |
IT융합 |
2 |
농식품의 안전한 유통을 위한 위해인자 신속관리 시스템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범부처R&D (농림부) |
3 |
사용자 의도 인지형 멀티모달 brain-machine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4 |
위험기상 감시 및 예측 향상을 위한 라디오존데 및 고층기상관측 자동화 시스템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5 |
다양한 종이 표면에 인쇄할 수 있는 휴대용 프린터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6 |
I/O모듈이 분리된 GlassPhone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7 |
해양플랜트 통합 운영 및 유지보수를 위한 예지보전(豫知保全) 시스템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8 |
고품질 융합서비스를 위한 국방 기반체계 연동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범부처R&D (국방부) |
바 이 오 의 료 기 기
|
바 이 오
|
9 |
다중검지 유전자, 단백질, 세포 하이브리드 진단 시스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10 |
[총괄] 나이론-6 단량체의 생물학적 생산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소재 개발 |
비징수 |
중소·중견 기업 |
통합형 |
- |
[1세부] 바이오매스 기반 나이론-6 단량체 전구체 생산 기술 개발 |
징수 |
기업 |
고위험형 |
[2세부] 바이오 전구체의 나이론-6 단량체 전환 및 중합 기술 |
징수 |
기업 |
시스템형 |
11 |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대사성 질환 치료용 저분자 개량신약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12 |
[총괄] 에코 보존형 미생물기반 작물보호제 개발 |
비징수 |
중소·중견 기업 |
병렬형 |
- |
[1세부] 효과지속형 광범위 프로바이오틱 작물보호제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 |
[2세부] 프로바이오틱 농업미생물 유래 대사체를 이용한 천연물 살균제 및 살선충제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 |
[3세부] 프로바이오틱 농업미생물 대사체 구조최적화를 통한 바이오 화학 작물보호제 개발 |
징수 |
기업 |
고위험형 |
13 |
[총괄] 한국특유 천연물소재를 이용한 대사증후군 개선용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 및 글로벌 제품화 |
비징수 |
중소·중견 기업 |
병렬형 |
- |
[1세부] 글로벌시장 진출을 위한 천연물 기반의 대사증후군 개선 기능성식품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 |
[2세부] 해양생물 유래 대사증후군 개선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 및 글로벌 제품화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 |
14 |
선진시장 진출을 위한 제제기술 기반 저분자(대사성질환 외) 개량신약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15 |
[총괄] Long-chain diacids (DC9~DC13)의 생물학적 생산 기술 개발 |
비징수 |
중소·중견 기업 |
통합형 |
- |
[1세부] 지방/지방산으로부터 장쇄디카르복실산의 생물/화학적 전환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 |
[2세부] 장쇄디카르복실산 생산 공정 및 분리 정제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 |
[3세부] 장쇄 디카르복실산(C9~C13) 활용 고분자 합성 및 기능성 제품화 기술 개발 |
징수 |
기업 |
시스템형 |
의 료 기 기 |
16 |
3차원 자성나노입자 영상 시스템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표준화연계 |
17 |
흉부 검진용 피폭량 0.5mSv 이하 3차원 CT개발 |
징수 |
기업 |
일반형 |
고위험형, 의료기관 참여필수 |
18 |
[총괄] 골밀도 정량 분석기기 및 골결손 치료를 위한 맞춤형 임플란트 개발 |
비징수 |
중소·중견 기업 |
병렬형 |
- |
[1세부] 다중 바이오마커 기반의 골 결손 진단용 정량분석기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의료기관 참여필수 |
[2세부] 환자 맞춤형 골 결손 대체 임플란트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표준화 연계, 의료기관 참여필수 |
19 |
[총괄] 고령환자/장애인 생활환경 개선 및 낙상 발생 방지를 위한 기기 개발 |
비징수 |
중소·중견 기업 |
병렬형 |
- |
[1세부] 고령자의 각 신체 부위별 partition 체압 조절이 가능한 매트리스 연동 욕창예방침대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 |
[2세부] 낙상에 대비한 신체 충격 완화 장치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 |
20 |
골이식 없이 식립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보철시스템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의료기관 참여필수 |
21 |
디지털병원 수출 활성화를 위한 사례기반 진료서비스 시스템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대학병원급 의료기관 참여필수 |
로 봇
|
차 세 대 로 봇
|
22 |
정격토크 150Nm 이하급의 내충격성이 높은 고효율 경량 박형 고감속기 모듈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23 |
뇌졸중 환자의 보행재활을 위한 보행의도 검출율 90% 이상의 생체신호 인터페이스 기술 및 재활훈련로봇 적용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표준화 연계 |
24 |
자율적 지식습득과 상황 적응적 지식응용을 통하여 무경험 상황에서 주어진 작업을 80% 이상 수행할 수 있는 로봇작업지능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25 |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로봇의 대규모 서비스 및 H/W 독립적인 서비스 공용화 지원을 위한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지 식 서 비 스
|
지 식 서 비 스
|
26 |
서비스 효과 증강을 위한 다감각 서비스 공통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27 |
국제대회급 스포츠이벤트 매니지먼트 서비스 플랫폼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표준화 연계 |
28 |
완구산업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 ToyWeb 서비스 기술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29 |
도시 인프라 자산관리 플랫폼과 서비스모델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지자체 참여필수 |
30 |
FTA 환경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위한 가치사슬 통합 국제물류 서비스플랫폼 기술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USN |
RFID/USN |
31 |
광역 이동물체에 대한 연속 위치추적이 가능한 트래킹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전자정보디바이스 |
시스템반도체 |
32 |
스타팹리스 시스템반도체 세계화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병렬형 |
- |
33 |
AEC-Q100을 만족하는 BCDMOS 기반 자동차용 반도체 공정 및 관련 핵심 IP 개발 |
징수 |
기업 |
일반형 |
수요연계형 |
34 |
모바일기기용 4K UHD급 Audio/Video 신호 전송 SoC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 |
35 |
차량용 SoC의 고신뢰성 확보를 위한 시스템 수준의 오류 검출 기술 및 국제 표준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표준화연계 |
36 |
Web 기반 어플리케이션 최적화 가상머신 가속엔진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37 |
[총괄] 고용량화 가능한 리튬 이차전지 소재 필수 요소 기술 개발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병렬형 |
- |
[1세부] 실리콘 음극소재 활용을 위한 고분자 바인더 소재 개발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
[2세부] 수지상 성장 억제 및 형상 제어가 가능한 리튬 금속 이차전지용 금속 음극 원천소재 개발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
[3세부] 고전압 복합전이금속 인산염계 양극활물질 개발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
반도체공정장비 |
38 |
[총괄] 반도체산업향 미래소자 원천기술개발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병렬형 |
- |
[1세부] III-V channel을 이용한 CMOS Extension 기술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
[2세부] Tunnel FET을 이용한 CMOS Extension 기술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
[3세부] 차세대 메모리용 MRAM 기술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
[4세부] 차세대 메모리용 RRAM 기술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
[5세부] 차세대 메모리용 PCRAM 기술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
[6세부] 차세대 메모리용 기반 기술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
[7세부] Optical interconnection을 이용한 차세대 BEOL 기술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
[8세부] Post Cu 물질을 이용한 차세대 BEOL 기술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
[9세부] 하이브리드 집적회로 기술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10세부] 차세대 ALD 기술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11세부] 차세대 CMOS를 위한 epitaxy technology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12세부] EUV 마스크 오염 방지 및 제거 기술 |
비징수 |
비영리기관 |
- |
39 |
[총괄] 20나노 이하급 고집적반도체 핵심소재 기술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병렬형 |
- |
[1세부] 1xnm이하 패턴구현이 가능한 EUV Blank Mask용 흡수체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 |
[2세부] 20nm이하 차세대 CMP 공정용 wet 세리아 슬러리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 |
[3세부] TSV 3D IC 적층 패키지용 비전도성필름(NCF)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 |
40 |
글로벌 협력형 450mm공정장비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표준화연계 |
디스플레이 |
41 |
AMOLED 박막봉지용 Non-ALD 방식 저결함, 고생산성 무기박막 Passivation 장비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 |
42 |
5.5세대 AMOLED용 TFT Array 검사 장비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 |
43 |
AMOLED TV용 Soluble TFT 및 화소 형성 소재/공정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44 |
고효율 장수명 진청색 인광 OLED 소재 기술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 |
45 |
Sulfide계 무기화합물 반도체 backplane 및 유무기 하이브리드 EL 소재/소자 기술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LED/광 |
46 |
고출력 펌핑용 반도체 레이저칩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 |
47 |
테라헤르츠 영상 · 분광 복합 포터블 스캐너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48 |
스마트 컨슈머 일렉트로닉스 내장형 20Gbps 초박형 광연결모듈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49 |
환경정화용 UV_C LED기술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정보 통신 미디어 |
홈네트워크정보가전 |
50 |
기기 정보뿐 아니라 사용자의 환경/감성/인지 정보에 적응적으로 반응하는 정보기기용 원격 UI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표준화연계 |
51 |
슬림 스마트 기기용 초박형 스피커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 |
DTV/방송 |
52 |
클라우드 기반 개방형 소셜 방송미디어 소비 환경의 콘텐츠 융합 생성, 편집 및 재생을 위한 미디어 제작 및 전송 시스템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 |
53 |
웹오브젝트 기반의 다중 통합촬영 시스템 기술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표준화연계 |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
차세대 이동통신 |
54 |
Local Access 효율 증대를 위한 다층셀·다중 무선망 협력기술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표준화연계 |
55 |
TDD망 진화에 대응한 IMT-Advanced TDD 무선전송 방식을 지원하는 소형셀 기지국 시스템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 |
네트워크 |
56 |
하향 40Gbps 및 상향 10Gbps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차세대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표준화연계 |
57 |
SDN/OpenFlow 기반의 기업용 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 |
SW컴퓨팅 |
SW |
58 |
[총괄] 사용자와 의사소통을 하고 스마트기기 간 자율협업을 통한 지식공유 및 지능진화가 가능한 엑소브레인 SW 기술 개발 |
징수 |
1세부 주관기관 |
병렬형 |
국가혁신기술개발형 |
[1세부] 휴먼 지식증강 서비스를 위한 지능진화형 Wise QA 플랫폼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병렬형 |
국가혁신기술개발형 |
[2세부] 빅데이터 이해 기반 자가학습형 지식베이스 및 추론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병렬형 |
국가혁신기술개발형 표준화연계 |
[3-1세부] Symbolic Approach 기반 인간모사형 자가학습 지능 원천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병렬형 |
국가혁신기술개발형 3-2세부와경쟁 |
[3-2세부] Non-symbolic Approach 기반 인간모사형 자가학습 지능 원천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병렬형 |
국가혁신기술개발형 3-1세부와경쟁 |
[4세부] 자율지능형 지식/기기 협업 프레임워크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병렬형 |
국가혁신기술개발형 표준화연계 |
59 |
다중의료영상을 활용한 3차원 초정밀 시뮬레이션 기반 심ㆍ혈관 질환 진단-치료지원 통합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60 |
병사들에게 실전과 같은 가상훈련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전 방향 이동 지원 상호작용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범부처R&D (국방부) |
61 |
2D 스테레오 콘텐츠를 3D 입체 음향 콘텐츠로 변환하기 위한 음원 객체분리/위치 추정 및 3D 렌더링 소프트웨어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 |
62 |
고성능과 실시간성을 위한 멀티코어 임베디드 시스템용 멀티프로세싱 RTOS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63 |
스토리지 및 유지관리비 절감형 가상데스크톱(VDI) 서비스 구현을 위한 통합자원관리 솔루션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전문기업 육성형 중 일류상용SW |
64 |
비즈니스 앱을 다양한 모바일 OS에 실행되도록 지원하는 미들웨어 및 GUI방식의 간편 앱 저작도구 소프트웨어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전문기업 육성형 중 일류상용SW |
65 |
고속(2Gbps)의 네크워크 패킷 디코딩과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링을 통해 사용자체감 성능측정이 가능한 통합 서비스성능관리 솔루션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전문기업 육성형 중 일류상용SW 표준화연계 |
66 |
원예 작물의 전염병(역병) 발생 감시, 예보 및 확산 방지를 위한 실시간 웹기반 원예 전염병(역병) 감시/예측 시스템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범부처R&D(농림부) 전문기업 육성형 중 전통산업혁신 |
67 |
글로벌 시장 대량 유통이 가능한 정형 및 비정형 빅데이터 검색 SW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전문기업 육성형 중 기존제품혁신 품목공모 |
68 |
산업현장의 니즈를 직접 반영한 빅데이터 분석 · 응용 SW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전문기업 육성형 중 도전적SW |
차세대컴퓨팅 |
69 |
적응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 서버당 100Gbps I/O로 백만 사용자를 지원하는 가상 플랫폼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표준화연계 |
70 |
클라우드 어플라이언스를 위한 고집적 저전력 프로세서 기반 싱글시스템 지원 시스템 가상화 핵심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71 |
PUE 1.5이하를 위한 에너지 절감형 모듈러 데이터센터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 |
72 |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SW컴퓨팅 |
지식정보보안 |
73 |
CCTV 통합관제센터에 적용되는 골목길 및 주택가 안전 감시를 위한 상황인지형 모니터링 및 검색 시스템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기업 |
일반형 |
- |
74 |
악성코드 프로파일링 및 대용량 보안 이벤트 분석을 통한 공격징후 탐지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75 |
BYOD,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상황정보 기반 동적 접근통제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디지털콘텐츠 |
디지털콘텐츠 |
76 |
다수 이용객중심의 실시간 생체신호기반 문화콘텐츠 평가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77 |
비정형 가치데이터 스파이더링 기반의 고만족 문화관광 콘텐츠 제공을 위한 소셜스토리보드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78 |
사실성을 극대화한 입체영상콘텐츠 제작을 위한 가상카메라 시스템 기술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수송시스템 |
그린카 |
79 |
전기동력 자동차의 부품 평가 표준 기술 개발 및 국제 표준화 대응 |
비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표준화 연계 |
80 |
1리터카를 위한 클린디젤 하이브리드 원천기술 개발 |
징수 |
대학 또는 연구기관 |
일반형 |
- |
81 |
CNG 차량용 엔진제어를 위한 OBD-2 기능 탑재 ECU 모듈 국산화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스마트카 |
82 |
운전 미숙자 지원을 위한 자동 차선 변경 시스템 원천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83 |
보행자 보호를 위한 자동 긴급 제동(AEB) 시스템 원천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표준화 연계 |
84 |
운전자 전방 주시 집중도 향상을 위한 초점거리 7.5m이상 HUD 시스템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조선 |
85 |
선박 추진기 소음 기반기술 및 소음저감 설계 핵심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표준화 연계 |
86 |
LNG Ship-to-Ship Bunkering Shuttle 설계 핵심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표준화 연계 |
87 |
해양기회원유(Opportunity crude oil) 생산을 위한 Flow assurance 기술 및 Topside용 유기산/칼슘제거 Process 원천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88 |
운항비 10% 절감을 위한 어선 설계 핵심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89 |
천연가스 연료추진을 적용한 BP 200ton급 해양시추지원선(AHTS) 기본설계 패키지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제조기반 |
생산시스템 |
90 |
초전도케이블 액체질소 냉각용 냉동능력 4 kW급의 스터링 극저온 냉동기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91 |
비속도 150~1200급 원심 및 사류펌프 설계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92 |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120ton급 전지형(All Terrain) 크레인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93 |
습전 적응형 55kW급 Full Feed방식 콤바인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생산기반 |
94 |
제품회수율 90% 및 400MPa급 고강도 알루미늄 정형부품 제조를 위한 점진적 응고제어 및 주단조 연계화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95 |
1GPa급 이상 초고강도강 및 알루미늄 차체부품 대응 통전 판재성형 기반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96 |
충격센서 모듈이 부착된 일체형 차체 부품을 위한 접합 및 성형 복합제조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97 |
3.5mm 이하급 이미지센서-경통 일체형 초경박 모바일 카메라 모듈의 융합 생산기반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산업소재 |
섬유의류 |
98 |
신장탄성율 20g/De 이하의 신축성 PLA 섬유 제조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화학공정소재 |
99 |
국제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천연물 유래 자동차 경량화 소재 및 제조공정 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100 |
압출공정 기반 일체형 전자파 차폐소재 및 필름 제조공정 기술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세라믹 |
101 |
액상공정을 이용한 열변화형 세라믹 박막 및 저온 진공 박막 게터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일반형 |
- |
102 |
경량 다공성 분말을 이용한 산업용 고온 단열소재 제조공정기술 및 제품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일반형 |
- |
금속재료 |
103 |
[총괄] 저원가 함철부산물 고속환원을 통한 하이브리드 제강 프로세스 기술개발 |
비징수 |
제한없음 |
통합형 |
- |
[1세부] 저원가 함철부산물 고속환원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 |
[2세부] 하이브리드 연속제강 프로세스 기술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 |
[3세부] 함철부산물 고속환원 및 하이브리드 제강설비 엔지니어링 기술 개발 |
징수 |
제한없음 |
- |
104 |
[총괄] 액화천연가스 저장 및 Flow line용 고망간강 열연강판 제조기술 및 배관 부품 개발 |
비징수 |
중소·중견 기업 (조합, 협회 가능) |
통합형 |
표준화 연계 |
[1세부] 고망간강 열연재 제조기술 |
징수 |
기업 |
시스템형 |
[2세부] 고망간강 배관재 제조기술 개발 |
징수 |
중소·중견 기업 |
- |
[3세부] 액화천연가스용 극저온 배관재 적용 및 평가 기술 개발 |
징수 |
기업 |
시스템형 |
플랜트엔지니어링 |
플랜트엔지니어링 |
105 |
심해 드릴링 장비의 Bulk 및 LP Mud Handling System 기술 개발 |
징수 |
기업 |
일반형 |
시스템형 | -
[지원대상 과제 설명] ◈ 주관기관 : “중소·중견기업” 이라고 표기된 과제는 반드시 중소·중견기업이 주관기관이 되어야 하며(단, 총괄과제는 제한없음), “기업”으로 표기된 과제는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 모두 주관기관 신청 가능함 ◈ 표준화 연계 : 사업계획서내에 표준화 관련 연구내용이 포함되어야 함 - ○ 지원대상 과제별 과제제안요구서(RFP)는 산업기술지원 사이트(itech.keit.re.kr 또는 www.keit.re.kr) 참조
(과제제안요구서(RFP) 내용의 총사업비 및 총수행기간은 평가위원회에서 조정 가능함) ○ 과제별로 신청가능한 정부출연금의 최대범위는 과제제안요구서(RFP)상 명기된 지원금액을 초과할 수 없음 ○ 과제 수행기간 중 정부의 정책 또는 평가위원회의 평가 결과 등에 따라 연차별 정부출연금이 변경될 수 있음 ○ 과제제안요구서(RFP) 2번, 8번, 60번, 66번 과제는 범부처 R&D협력과제로 협약시 국방부 또는 농림부가 지정하는 품질관리 전담기관을 참여시켜 정부 출연금의 10% 이내로 배분 하여야 함 ○ 과제제안요구서(RFP) 29번 과제는 지자체 참여 필수임 ○ 과제제안요구서(RFP) 32번 과제는 기존의 병렬형 과제에 세부과제를 추가로 선정하는 과제임 ○ 과제제안요구서(RFP) 58번의 총괄과제는 1세부 주관기관과 동일 기관에서 수행해야 하므로 1세부의 주관기관으로 신청한 기관은 총괄과제도 반드시 신청해야 함. 또한, 3-1세부와 3-2세부과제는 2년 지원 후 평가를 통해 1개 과제만 계속지원함(RFP 참조) ○ 통합형 또는 병렬형 과제의 총괄과제 정부출연금 지원규모는 0.5억원/년 이내이고, 민간부담금은 의무화가 아님. 단, 과제제안요구서(RFP) 58번 과제는 1억원/년 이내임 ○ 과제제안요구서(RFP) 38번의 총괄, 세부과제는 과제제안요구서(RFP) 참조 ○ 과제제안요구서(RFP) 94번~97번의 ‘뿌리기업’은 ‘뿌리산업 진흥과 첨단화에 관한 법률’ 제2조에 근거하며, 해당 여부 등 세부사항은 문의처(02-6001-0765)로 문의바람 ○ “기술료 징수” 과제는 기업이 반드시 참여해야 함 ○ “기술료 비징수” 과제는 정부출연금 100%까지 지원가능하며 비영리기관만 수행기관(주관기관, 참여기관)으로 신청 가능함. 이때, 일반형 과제와 통합형 및 병렬형 과제의 세부과제 수행 결과에 대해서는 공개하여야 함. 또한, 병렬형 및 통합형 과제의 총괄과제의 경우는 비영리기관으로 한정한 과제 이외에는 영리기관도 신청 가능함 ○ 기타 세부내용은 과제제안요구서(RFP) 참조
- Ⅳ. 주관기관(총괄/세부)과 참여기관의 신청 자격 및 과제신청 유의사항
-
- □ 기업, 대학, 연구기관, 연구조합, 사업자단체 및 기타 산업기술혁신촉진법에 의한 산업기술개발사업의 실시기관 등
- ○ 주관기관이 기업인 경우는 접수마감일 현재 창업 1년 이상 경과하고(사업자등록증 기준),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는 법인사업자이어야 함
- ○ 외국 소재 기관(기업, 대학 및 연구소 등)의 경우 참여기관으로 사업 참여 가능함
- □ 디자인과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과의 연계
- ○ 협약체결 전에 전담기관이 지식서비스, 바이오의료기기, 로봇, 그린카 등 수송시스템, 산업소재분야의 과제는 과제별로 디자인 참여비율을 산정하며, 동 비율이 5% 이상인 과제는 디자인 인력 1인 이상을 외부연구원으로 포함하는 것을 권고함
- Ⅴ. 신규사업 참여를 위한 지원사항
-
- □ 사업설명회
- ○ 목적 : 2013년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 방법, 절차 안내 및 사업참여와 관련된 규정 등을 안내
- ○ 개최일자/장소 : 2.27(수) ~ 3.8(금)/16개 지역
-
사업설명회 지역 일시 및 장소
일시 |
지역 |
장소 |
비고 |
2월 27일(수) 14:00 |
서울 |
르네상스서울호텔(다이아몬드 볼룸) |
|
3월 5일(화) 14:00 |
경기(안산) |
산업기술대학교(공학관 2동 대강당) |
통합 시행계획 |
광주 |
광주과학기술교류협력센터(국제회의장) |
통합 시행계획 |
울산 |
울산테크노파크(강당) |
|
대구 |
대구경북디자인센터(컨벤션홀) |
|
3월 6일(수) 14:00 |
전북(전주) |
전북테크노파크(대강당) |
|
경기(인천) |
인천테크노파크(갯벌타워 국제회의장) |
|
부산 |
부산디자인센터(이벤트홀) |
통합 시행계획 |
충북(오창) |
충북테크노파크(세미나실) |
|
3월 7일(목) 14:00 |
충남(천안) |
충남테크노파크(강당) |
|
대전 |
정보통신산업진흥원(대강당) |
|
경남(창원) |
경남테크노파크(본부동 1층 대강당) |
|
3월 8일(금) 14:00
|
강원(원주) |
(재)원주의료기기 테크노밸리(첨단의료기기 테크노타워 대강당) |
통합 시행계획 |
전남(순천) |
전남테크노파크(지식산업센터 1층 대강당) |
|
경북(구미) |
구미전자정보기술원(다목적홀) |
|
제주 |
제주테크노파크(제주벤처마루10층컨퍼런스룸) |
통합 시행계획 | - ※ 경기(안산), 강원(원주), 광주, 부산, 제주 지역에서는 통합 시행계획 설명 예정
- □ 정보교류회
- ○ 목적 : 신규사업에 참여코자 하는 연구자간 컨소시엄 구성이 용이하도록 정보교환의 장 마련
- - 과제기획자(PD, Program Director)의 기획내용 설명 및 관련 질의응답 추진
- 과제 참여 희망기관간의 정보공유 및 컨소시엄 구성의 기회를 제공 - ○ 개최일자/장소 : 3.12(화) ~ 3.14(금)
-
사업설명회 지역 일시 및 장소
분야 |
일시 |
시간 |
분야 |
장소 |
신산업 |
3월12일(화) |
10:00~ |
의료기기 |
The-K 서울호텔 (가야금 A홀, 구 서울교육문화회관) |
13:00~ |
지식서비스 |
15:00~ |
로봇 |
17:00~ |
산업융합기술(나노융합), 바이오 |
정보통신 |
3월13일(수) |
10:00~ |
SW·컴퓨팅, 디지털콘텐츠 |
대전 유성호텔 |
13:00~ |
전자정보디바이스 |
15:00~ |
정보통신미디어, 차세대통신네트워크 |
17:00~ |
산업융합기술(IT융합), USN |
주력산업 |
3월14일(목) |
10:00~ |
수송시스템 |
The-K 서울호텔 (가야금 A홀, 구 서울교육문화회관) |
13:00~ |
제조기반 |
15:00~ |
산업소재 |
17:00~ |
플랜트엔지니어링 | - ※ 당일 행사장 입구에서 현장 등록 후 입장 (사전등록 필요 없음)
- □ 정보공유 게시판
- ○ 내용 : KEIT홈페이지에 『게시판』을 운영하여 신규사업에 참여코자 하는 연구자간 컨소시엄 구성이 용이하도록 정보교환의 장을 마련
- ○ 게시판 위치
- - http://itech.keit.re.kr 메인페이지 ▷ 왼쪽하단 업무바로가기 ▷ “산업기술 정보공유게시판” 클릭
- http://www.keit.re.kr 메인페이지 ▷ 주요사업공고 ▷ 2013년도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신산업·정보통신산업·주력산업 분야)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 관심과제 옆 “정보공유 게시판” 바로가기 클릭 - ○ 활용방법 (2가지 방법)
- - 관심이 있는 과제제안요구서(RFP)별로 해당과제 참여를 위한 정보를 검색하여 타 기관에서 올려놓은 공동연구 참여조건을 열람하거나
- 관심기관이 적극적으로 공동연구를 추진할 연구자를 찾는다는 내용을 게시판에 업로드
- Ⅵ. 신청요령
-
- □ 신청방법
- ○ 공고기간 : 일반형, 통합형, 병렬형 과제 공고기간 50일
- ○ 산업기술지원 사이트(itech.keit.re.kr)에 인터넷 전산등록하여 접수번호를 부여받은 후 신청서(사업계획서 및 첨부서류)를 우편 또는 인편으로 제출
(신청서 제출 마감일 18시까지 도착분에 한하여 접수) - ※ 우편물 표지에 과제번호, 과제제안요구서(RFP) 번호, 신청과제명(세부과제 포함) 등을 기재할 것
- □ 사업계획서 및 관련양식 교부
- ○ 양식 교부 : 2013. 2. 20(수) ~ 4. 5(금)
- ○ 양식 교부 및 접수안내 : 산업기술지원 사이트(itech.keit.re.kr)
- □ 인터넷 전산등록 및 신청서 제출
-
인터넷 전산등록 및 신청서 제출일정
전산 접수 기간 |
사업계획서 접수 기간 |
3. 25(월) ∼ 4. 4(목) 18:00까지 |
4. 1(월) ∼ 4. 5(금) 18:00까지 | - ○ 전산 등록처 : 산업기술지원 사이트(itech.keit.re.kr)
- * 일반형, 병렬형 과제는 주관기관 총괄책임자가 전산접수
* 통합형 과제는 총괄주관기관 총괄책임자가 전산접수를 완료한 경우에만 세부주관기관이 전산 접수 가능 - ※ 전산 등록 마감일에는 전산 폭주로 인하여 접수가 지연되거나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접수요망 또한, 전산접수 마감일 18시 이후 로그인시 전산접수 불가
- ○ 신청서 제출처 : 지원대상 과제목록의 분야별로 접수처가 다르므로 반드시 확인 요망
-
신청서 제출처
분야 |
접수처 |
나노융합, 바이오, 의료기기, 차세대로봇, 지식서비스, 그린카, 스마트카, 조선, 생산시스템, 생산기반, 섬유의류, 화학공정소재, 세라믹, 금속재료, 플랜트엔지니어링
|
(135-080)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305번지 한국기술센터 11층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평가총괄팀(☎ 1544-6633, 02-6009-8212~9) |
IT융합, RFID/USN, 시스템반도체, 반도체 공정/장비, 디스플레이, LED/광, 홈네트워크/정보가전, DTV/방송, 차세대이동통신, 네트워크, SW, 차세대컴퓨팅, 지식정보보안, 디지털콘텐츠
|
(305-348) 대전시 유성구 유성대로 1548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정보통신평가팀 (☎ 1544-6633, 042-715-2212~9) | - ※ 전산 등록기간에 등록을 완료(전산접수증 출력)하지 않은 과제의 경우는 신청서 접수가 불가함
- □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Ⅶ. 관련 규정
-
- □「지식경제기술혁신사업 공통 운영요령」, 「기술료 징수 및 사용·관리에 관한 통합요령」, 「지식경제기술혁신사업 사업비의 산정, 관리 및 사용, 정산에 관한 요령」, 「지식경제기술혁신사업 보안관리요령」, 「지식경제기술혁신사업 연구·윤리 진실성 확보 등에 관한 요령」, 「지식경제기술혁신사업 기술개발 평가관리지침」
- Ⅷ. 평가절차 및 유의사항
-
- □ 평가절차 및 지표
- ○ 사업계획서 접수(’13. 4월) → 사전검토(’13. 4월) → 평가위원회 평가(’13. 4월~5월) → 평가결과 통보 및 이의신청(’13. 4월~5월) → 신규사업자 확정 및 협약(’13. 5월~6월)
- ○ 평가항목은 “기술성 및 개발능력”, “경제성 및 사업화 가능성”임. 단,과제제안요구서(RFP) 58번, 63번~68번의 평가지표는 달라질 수 있으며, 2013.2.26(화)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홈페이지 사업공고란에 게시할 예정임. RFP 58번에 대한 문의는 SW컴퓨팅평가팀 042-715-2242, RFP 63번~68번에 대한 문의는 042-715-2241로 요망.
- ○ 통합형 과제는 총괄과제 및 세부과제 평가결과에 따른 종합점수에 따라 전체 과제가 탈락될 수 있음
- ○ 선정된 과제는 과제 추진 중 규정에 따라 상대평가를 통해 중단 될 수 있음
- □ 아래의 경우 평가 시 우대함
- ○ 최근 3년 이내(접수 마감일 기준)에 지식경제부로부터 신청 과제의 기술분야로 세계일류상품 생산업체로 선정 또는 세계일류상품 관련 기술 인증 받은 기업이 주관기관으로 과제에 신청한 경우(3점)
- ○ 최근 3년 이내(접수 마감일 기준)에 지식경제부 소관 기술개발사업으로 과제를 수행한 결과 “우수” 또는 “혁신성과”로 판정 받은 총괄책임자가 신청과제의 총괄책임자인 경우(2점)
- ○ 주관기관의 참여연구원 중 여성참여연구원이 10% 이상인 경우(2점)
- ○ 최근 3년 이내(접수 마감일 기준)에 신기술(NET), 신제품(NEP), 신뢰성(R)인증, 우수디자인상품(GD)을 보유한 기업이 당해 기술과 관련하여 주관기관으로 신청한 경우(2점)
- ○ 최근 3년 이내(접수 마감일 기준)에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 지식경제부장관으로부터 상생협력우수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임직원이 선정 된 경우, 그가 소속된 기업), 동반성장위원회가 발표하는 동반성장지수 우수기업, 대·중소기업협력재단으로부터 ‘성과공유제 도입기업 확인’을 받은 기업이 주관기관으로 신청한 경우 또는 해당 과제에 대해 성과공유 사전계약을 체결하여 대·중소기업협력재단에 등록한 경우(3점)
- ○ 성과활용평가를 통해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이 주관기관으로 신청한 경우 등(2점)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녹색인증을 받은 기업이 해당기술 관련하여 주관기관으로 신청한 경우(접수 마감일 기준 인증서가 유효한 경우에 한함)(2점)
- ○ 수행기관으로 과제를 신청한 대학에서 산학협력중점교수를 신규채용(사업공고일 기준 6개월 이전(2012년 8월 14일 이후) 채용부터 인정)하여 과제에 참여시킬 경우(3점)
- * 산학협력중점교수는 산업체 경력자로서 산학협력을 통한 교육, 연구, 취업·창업지원활동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산학협력실적 중심으로 평가받는 교원을 말함
- ○ 수행기관으로 과제를 신청한 대학에서 전담연구인력 신규채용(사업공고일 기준 6개월 이전(2012년 8월 14일 이후) 채용부터 인정)하여 과제에 참여시킬 경우(3점)
- * 전담연구인력은 학사이상 졸업 후 대학에 소속된 자(4대 보험과 재직증명서 발급 가능자)로서 연구를 전담하는 계약직 연구인력을 말함
- ○ 지식경제 R&D 인적투자 확대를 위한「인건비 비중 가이드라인」을 충족하는 사업계획서 작성시 우대 (3점). 단, 아래 2개 조건 중 1개만이라도 만족하면 가점 부여하며, 2개를 모두 만족하였다 하여 중복하여 가점을 부여하지 않음
- - (중소기업, 대학 혹은 출연연구소) 연구인력을 사업공고일 기준 6개월 이전(2012년 8월 14일 이후)부터 채용하고 “가이드라인”을 충족시
- (대기업 참여 과제) 대기업이 소관 사업비의 5%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을 투입하여 신규채용(사업공고일 기준 6개월 이전(2012년 8월 14일 이후) 채용부터 인정)하고 “가이드라인” 충족시 -
- □ 다음의 경우는 지원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 ○ 신청과제가 공고된 과제제안요구서(RFP)의 목표 및 내용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 ○ 신청과제의 기술개발 목표 및 내용이 기지원, 기개발된 과제와 동일한 경우
- ○ 주관기관, 참여기관, 총괄책임자 등이 접수마감일 현재 각종 보고서 제출, 기술료/정산금/환수금 납부 등 의무사항을 불이행하고 있는 경우
- ○ 주관기관, 참여기관, 주관기관의 장, 참여기관의 장, 총괄책임자 등이 접수 마감일 현재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을 받고 있는 경우
- ○ 접수마감일 현재 주관기관, 주관기관의 장, 총괄책임자, 참여기관, 참여기관대표자가 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단, 비영리기관 및 공기업(공사)은 비적용)
- - 기업의 부도
- 세무당국에 의하여 국세, 지방세 등의 체납처분을 받은 경우 - 민사집행법에 기하여 채무불이행자명부에 등재되거나, 은행연합회 등 신용정보집중기관에 채무불이행자로 등록된 경우 - 파산 · 회생절차 · 개인회생절차의 개시 신청이 이루어진 경우(단, 법원의 인가를 받은 회생계획 또는 변제계획에 따른 채무변제를 정상적으로 이행하고 있는 경우는 예외로 함) - 결산 기준 업력이 2년 이상된 기업의 경우 최근 2년 결산 재무제표상 부채비율이 연속 500% 이상인 기업 또는 유동비율이 연속 50% 이하인 기업 (단, 기업신용평가등급 중 종합신용등급이 'BBB'이상인 경우 또는 외국인투자촉진법에 따른 외국인투자기업 중 외국인투자비율이 50%이상이며, 기업설립일로부터 5년이 경과되지 않은 외국인투자기업은 예외로 한다.)이때, 업력이 2년 미만인 경우는 해당 결산만 적용 - 최근 결산 기준 자본전액잠식 - 외부감사 기업의 경우 최근년도 결산감사 의견이 “의견거절” 또는 “부적정”
- □ 지원대상 과제 중복성 제기
- ○ 지원대상 과제가 정부에 의해 기 지원ㆍ기 개발되었거나 민간에 의해 기 개발된 사실을 발견한 경우에는 중복성을 제기할 수 있음
- ※ 정부에 의한 기 지원ㆍ기 개발 여부 확인 방법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자료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홈페이지(www.keit.re.kr)의 “자료마당→지원과제검색” - 타기관 공개자료 :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의 “정보마당→세부과제→세부과제검색” - ○ 제기기간 : 2013. 2. 15(금) ~ 4. 5(금)
- ○ 제 기 처 : (135-080)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305번지 한국기술센터 11층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평가총괄팀
- ○ 제기기관 대표자 명의의 공문 제출(관련 근거자료 첨부)
- □ 지식재산권 및 발생품의 귀속
- ○ 사업의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구장비, 연구시설 및 시작품 등 유형적 성과물은 주관기관의 소유로 한다. 다만, 사업계획서에 따라 참여기관이 소유를 목적으로 취득한 유형적 성과물은 해당 수행기관의 소유로 함
- ○ 사업의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식재산권, 보고서의 저작권, 연구노트 등 무형적 성과물은 개별 성과물을 연구개발한 기관의 단독 소유로 한다. 다만, 복수의 수행기관이 공동으로 성과물을 개발한 경우 그 성과물은 공동으로 개발한 수행기관의 공동 소유로 하며, 단독 또는 공동소유의 판단은 사업계획서내용(추진방법, 편성도, 수행기관별 연구담당분야, 사업비 구성 등)을 근거로 성과물의 개발에 기여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함
- ○ 외국기관이 참여한 과제의 경우, 해당 기관이 사업의 수행결과로 발생하는 지식 재산권을 소유할 때에는 국내 수행기관에게 무상의 통상실시권을 부여하여야 함
- □ 보안등급 분류
- ○ 신청자는 신청 과제의 보안등급(보안/일반)을 분류하여 이를 사업계획서에 표기하여야 함
- ○ 보안 과제는 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과제임
- - 세계 초일류 기술제품의 개발과 관련되는 연구개발과제
- 외국에서 기술이전을 거부하여 국산화를 추진 중인 기술 또는 미래 핵심기술로서 보호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연구개발과제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법률」제2조제2호의 국가핵심기술과 관련된 연구개발과제 -「대외무역법」제19조 1항 및 동법 시행령 제32조의2의 수출허가 등의 제한이 필요한 기술과 관련된 연구개발과제
- Ⅸ. 문의처
-
- □ 상세 내용 및 관련양식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홈페이지(www.keit.re.kr) 또는
산업기술지원 사이트(itech.keit.re.kr) 참조 - ○ 과제제안요구서(RFP) 내용 및 평가 일정/절차에 대한 문의처(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문의처
문의처 |
과제제안요구서(RFP) 내용 |
신규평가 일정/절차 |
지원분야 |
담당팀 |
연락처 |
담당팀 |
연락처 |
◈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총괄(평가총괄팀, 02-6009-8213) |
◈ 신산업 |
로봇 |
로봇 PD실 |
02-6000-7414 |
융합기술평가팀 |
02-6000-7363 |
바이오·의료기기 |
의료기기 PD실 |
02-6000-7362 |
바이오헬스평가팀 |
02-6000-7381 |
바이오 PD실 |
02-6000-7355 |
지식서비스 |
지식서비스 PD실 |
02-6000-7357 |
융합기술평가팀 |
02-6000-7364, 9 |
USN |
RFID/USN PD실 |
042-715-2091 |
정보통신평가팀 |
042-715-2213 |
산업융합기술 |
나노융합 PD실 |
02-6000-7366 |
융합기술평가팀 |
02-6000-7368 |
신산업 IT융합 PD실 |
042-715-2081~2 |
정보통신평가팀 |
042-715-2217 042-715-2219 |
주력산업 IT융합 PD실 |
042-715-2051~2 |
◈ 정보통신산업 |
전자정보디바이스 |
시스템반도체 PD실 |
042-715-2151~2 |
전기전자평가팀 |
042-715-2232 |
반도체 공정/장비 PD실 |
042-715-2041 |
042-715-2234 |
디스플레이 PD실 |
042-715-2161~2 |
042-715-2231 |
LED/광 PD실 |
042-715-2171~2 |
042-715-2233 |
정보통신미디어 |
DTV/방송 PD실 |
042-715-2111 |
정보통신평가팀 |
042-715-2214 |
홈네트워크 / 정보가전 PD실 |
042-715-2121~2 |
차세대통신네트워크 |
차세대이동통신 PD실 |
042-715-2141~2 |
정보통신평가팀 |
042-715-2212 |
네트워크 PD실 |
042-715-2132 |
SW·컴퓨팅 |
SW PD실 |
042-715-2182~3 |
SW컴퓨팅평가팀 |
042-715-2241~2 |
차세대컴퓨팅 PD실 |
042-715-2191~2 |
042-715-2242 |
지식정보보안 PD실 |
042-715-2071 |
042-715-2244 |
디지털콘텐츠 |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기획PD실 |
02-3704-9193,5 |
SW컴퓨팅평가팀 |
042-715-2246 |
◈ 주력산업 |
수송시스템 |
그린카 PD실 |
02-6001-0784 |
수송플랜트평가팀 |
02-6001-0772~3 |
스마트카 PD실 |
02-6001-0758 |
조선 PD실 |
02-6001-0761 |
산업소재 |
섬유의류 PD실 |
02-6001-0757 |
섬유화학평가팀 |
02-6001-0793, 5, 6 |
화학공정 PD실 |
02-6001-0760 |
금속재료 PD실 |
02-6001-0767 |
제조기반 |
산업용기계 PD실 |
02-6001-0766 |
기계항공평가팀 |
02-6001-0783 |
생산기반 PD실 |
02-6001-0765 |
플랜트엔지니어링 |
플랜트엔지니어링 PD실 |
02-6001-0764 |
수송플랜트평가팀 |
02-6001-0776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