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그동안 개별적으로 진행했던 중소기업 지원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추진할 방침이이서 주목된다.
이번 사업은 정부가 플랫폼을 구축한 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가 되고, 중소기업이 사용자가 되는 정부 주도 방식이라는 점과 사업대상이 전체 중소기업이고, 지속적인 유지보수 역할도 정부가 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중소기업기술정보원은 `클라우드 기반 중소기업 정보화지원방안'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정보화 예산이 매년 감소하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의 증가하는 정보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클라우드를 활용해 중소기업들의 정보화 격차를 줄이기 위해 기획됐다.
이번 사업은 정보자원 및 전문인력의 보유율이 낮고 정보화 인식, 수용능력이 낮은 50인 미만의 소기업과 영세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기존까지 중소기업청을 중심으로 진행된 정보화 지원사업은 업체별로 시스템 구축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하지만 그동안 정보화지원사업에 총 2369억원을 투자해 2574개 업체를 지원했지만, 지원 혜택을 받은 업체는 국내 전체 중소기업(312만5427개) 중 0.08%에 불과했다.
국내 중소기업 대부분은 정보자원, 전문인력의 보유율이 낮고 정보화 인식, 수용능력이 취약한 영세형 구조가 대부분이다. 이에 중소업체 지원을 효과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정부는 클라우드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클라우드 플랫폼 방식은 개별기업 지원방식에 비해 도입비용이 저렴하고, 구축 후 별도비용 없이 규모를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 정부가 직접 운영과 관리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이 낮아 영세기업들이 지속적으로 관리를 받을 수 있다.
정부가 플랫폼 운영과 솔루션 추가, 유지보수를 해주기 때문에 중소기업은 HW나 SW의 추가 구매 없이 PC, 스마트폰 등으로 바로 활용할 수 있다.
정부가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부문은 그룹웨어, 전자메일, 전자결재 등 중소기업이 기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본솔루션이다. 또, 섬유, 제지 등 특정업종에 속한 기업들이 사용할 수 있는 특화된 솔루션도 단계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중소기업기술정보원측은 "이번 중소기업 대상 클라우드 사업은 한정된 예산의 효율적 투자를 통한 효과적인 정책을 펼치는 예가 될 것"이라며 "이번 클라우드 사업을 통해 서비스 공급자와 사용자(중소기업)간 중개 활성화를 하고 국내 클라우드 산업 육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