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정책효율성을 높이고 대국민 서비스를 발굴하고자 하는 정부부처와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사업기획 및 기술 등을 지원하는 `빅데이터 컨설팅 사업'을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미래부는 빅데이터 도입에 관심 있는 정부부처ㆍ지자체ㆍ공공기관ㆍ기업을 대상으로 사업 기획, 데이터 현황 분석 및 개인정보보호 등에 문제가 없는 데이터 연계방안, 데이터 형태ㆍ규모를 고려한 적정 기술 등을 제공하는 빅데이터 컨설팅 사업을 추진한다.
이미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보건의료, 재난 방지, 탈세감지 등의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미 국립보건원의 유전자 데이터 공유 및 분석을 통한 질병치료 체계, 미 국세청의 탈세 방지 시스템 등을 가동하고 있다.
미래부는 정부,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지난 3월 `빅데이터 서비스 수요조사'(한국정보화진흥원)를 실시한 결과, 22개 기관에서 보건의료, 교통, 관광 등 여러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도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53개 기관이 유통, 고용, 문화 등 분야에서 80여개의 빅데이터 연관 사업을 제안하는 등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부는 효과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빅데이터 컨설팅 수요조사'를 31일까지 진행할 예정이며, 이와 별도로 `빅데이터 컨설팅 사업설명회 및 세미나'를 26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다.
박재문 미래부 정보화전략국장은 "사업 발굴에서 사업화까지 전 과정에서 필요한 정책적ㆍ기술적 지원을 통해, 빅데이터가 성공적인 창조경제를 구현하는 기반이 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