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행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약 450억원 규모 빅데이터 사업의 첫 발주가 이뤄졌다.
6일 안행부는 `빅데이터 공통기반 및 시범과제 구축-분리발주(빅데이터 분석솔루션 도입)' 입찰 공고를 냈다.
이번 발주는 지난 4월 `전자정부지원사업 설명회' 당시 소개한 50억원 규모에서 37억원 규모로 축소됐고, 하드웨어장비는 정부통합전산센터를 통해 7억원, 통합사업 17억원, 솔루션별 분리발주가 13억원 규모로 이뤄졌다.
안행부는 공공 빅데이터사업의 중기 투자계획을 오는 2017년까지 450억원 규모로 잡고 있어 빅데이터 관련 IT발주는 해마다 이뤄질 예정이다.
안행부 관계자는 "앞으로 빅데이터 공통기반을 사용하는 현안부처가 늘어나면서 공통기반을 더욱 확장하고, 올해는 통계청 관련 시범서비스를 실시하지만 지속적으로 다른 분야 활용과제도 적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안행부에서 발주하는 이번 빅데이터 사업은 행정ㆍ공공ㆍ민간의 데이터의 융합 및 빅데이터 분석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범정부적으로 빅데이터를 공유ㆍ분석할 수 있는 체계와 이를 활용한 표준 모델을 제공하고, 부처별 추진에 따른 중복투자 방지를 막는 게 목적이다.
그동안 공공의 정형ㆍ비정형 빅데이터에 대한 수집과 연계ㆍ분석 인프라 부재로 공공업무에 필요한 대용량의 다양한 정보의 적시 제공이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에 각 행정기관에 분산된 데이터로 인해 범국가적 융합정보를 바탕으로 한 공공ㆍ민간에 대한 개방과 종합적 분석서비스 제공 미흡했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특히, 올해부터 2017년까지 총 450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큰 규모의 사업인 만큼 국내외 IT서비스 및 솔루션 업체들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다만 당초 50억원 규모의 빅데이터 사업이 40억원 미만의 사업으로 축소돼 대기업 뿐 아니라 중견기업들도 참여할 수 없게 돼 중소 SW기업과 외국계 기업들의 각축장이 될 전망이다.
중견 IT서비스기업들은 당초 안행부의 빅데이터 공통기반 구축사업에 관심이 있었지만 계획보다 발주 규모가 축소되고, 기존사업수행 때문에 여력이 없어 LIG시스템과 대보정보통신 등은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대우정보시스템은 참여할 예정이다.
빅데이터 공통기반에 어떤 빅데이터 핵심 솔루션이 선정될 지도 관심사다. 안행부 관계자는 "수집, 저장, 분석, 검색 등 빅데이터 솔루션은 타 솔루션과의 연계 범위, 가능 여부를 고려해 선정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