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130만명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결과 흡연자는 각종 암에 걸릴 위험성이 비흡연자에 비해 2.9∼6.5배 높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한국인 130만명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결과 흡연자는 각종 암에 걸릴 위험성이 비흡연자에 비해 2.9∼6.5배 높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담배로 인한 국민건강보험 진료비 지출이 한 해 1조7000억원에 달한다는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한 건강보험공단이 공공기관으로는 최초로 담배회사를 상대로 소송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파장이 예상된다.
2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연세대학교와 공동 연구해 발표한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한 흡연의 건강영향 분석 및 의료비 부담' 자료에 따르면, 남성은 비흡연자에 비해 흡연자의 질병 발생위험도가 ?후두암 6.5배 ?폐암 4.6배 ?식도암 3.6배로 더 높았고, 여성은 ?후두암 5.5배 ?췌장암 3.6배 ?결장암은 2.9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1992년부터 1995년 사이 공단 일반검진을 받은 공무원 및 사립학교 교직원과 피부양자(30세 이상) 약 130만 명을 대상으로 2011년 12월까지 19년 간의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병 발생을 추적한 아시아 최대 규모 역학연구다.
추적조사 기간 동안 암은 14만6835명, 심ㆍ뇌혈관질환은 18만2013명이 발생했으며, 흡연이 해당 질환의 발생에 기여하는 위험도는 남성의 경우 ?후두암 79.0% ?폐암 71.7% ?식도암 63.9%로 분석됐다.
아울러 장기간의 금연은 암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흡연자 15만7903명에 대해 1992년부터 2000년까지 8년 동안의 금연력을 파악해 금연기간에 따른 질병발생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6년 이상 금연자의 경우 계속 흡연을 한 사람에 비해 추적기간 동안 폐암 발생률이 절반 수준으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선하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20∼30년 동안 장기간에 걸쳐 보이는 현상이므로 과거 1980∼1990년대 높은 흡연율로 인한 영향은 앞으로 보다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흡연으로 인해 초래된 건강보험 진료비 지출은 2011년 기준 1조6914억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2011년 기준 전체 건강보험 진료비 46조원의 3.7%에 해당하는 규모다. 특히 흡연 관련 진료비는 뇌혈관질환(3528억원), 허혈성 심질환(2365억원), 당뇨병(2108억원), 폐암(1824억원), 고혈압(1657억원) 등에 1조원 이상 집중적으로 쓰였다.
김종대 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은 "흡연으로 늘어난 의료비는 결국 건강보험이 책임지므로 건강보험 가입자는 담배 때문에 추가 보험료를 내는 셈"이라며 "가입자의 건강과 경제적 부담을 고려해 공단이 흡연 문제에 대해 어떤 역할을 할지 다각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단은 이번 빅데이터 연구를 토대로 현재 소송을 포함한 다양한 대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담배 소송이 실제로 이뤄진다면 이번 빅데이터 연구가 증거자료로써 얼마나 가치를 인정받을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미화 남산법무법인 변호사는 "인지 비용 등을 고려하면 초기 소송가는 크지 않지만 소송 추이에 따라 규모가 눈덩이처럼 커질 수 있다"며 "담배회사의 과실을 부분적으로만 입증한다고 해도 손해배상 규모는 엄청난 액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