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가 국내 IT업계에 `단비'가 될 것이란 기대가 사그라지고 있다. 그 나마 있는 시장도 공공과 민간할 것 없이 외국계 업체들에 의해 사실상 좌우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5일 조달청과 업계에 따르면 올 하반기 들어 공공과 민간에서 잇달아 빅데이터 사업이 발주됐지만 대부분 소규모 시범사업과 성능테스터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올 하반기 안전행정부, 국토교통부, 미래창조과학부 등 주요 부처 산하기관들의 빅데이터 사업 발주는 급증해 수십건에 달했다. 하지만 공공 빅데이터 발주는 대부분 소규모 시범사업이었고, 대기업도 성능테스트(PoC, Proof Of Concept) 위주로 진행돼 실질적으로 업체들은 큰 수혜를 입지 못했다. 사업 상당수가 연구용역과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수준이어서 업계의 실적으로 이어지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는 평가다.
실제 안행부는 오는 2017년까지 450억원 규모의 공공빅데이터 사업을 해마다 발주할 예정이나 사업규모가 당초보다 축소됐다. 이로 인해 대기업 뿐 아니라 중견기업들도 참여할 수 없게 돼 중소 소프트웨어(SW) 업체와 대형 외국계 업체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
한 IT서비스업체 관계자는 "국내 공공 빅데이터 사업이 대부분 소규모이다 보니 20억원, 40억원으로 사업참여 제한이 있는 기업들의 경우 입찰에 참여할 수도 없었다"면서 "올해는 전부 시범사업이고 본사업은 1개가 있었는데 사업규모 때문에 못 들어갔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대기업들은 사업 발주가 대부분 PoC로 진행됐고 실제 본사업 발주는 거의 없었다"면서 "대기업 빅데이터 사업은 그나마 주로 외국계 업체들이 뛰어든다"고 전했다.
이로 인해 플랫폼과 솔루션을 자체 개발했더라도 고객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일례로 대보정보통신도 올해 빅데이터 플랫폼을 개발했지만 단 한건의 수주도 하지 못했다.
이에 한국정보화진흥원 빅데이터공공활용지원센터는 정부부처를 통해 11월 국무회의에서 빅데이터 시범사업이 본사업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할 예정이다.
김현곤 빅데이터공공활용지원센터장은 "내년 공공빅데이터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는 것은 주관사업자가 얼마나 (빅데이터 본사업에 대한)의지를 가지느냐 문제"고 말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빅데이터 과제에 참여중인 한 업체 관계자는 "국가차원의 연구과제를 관련 업체들과 협업해 산업환경에 즉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면서 "산학연이 공동으로 실시간 빅데이터 처리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투자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