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산에 대항하는 국산 클라우드 플랫폼이 마련되고, 전국 산업단지공단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시장이 열릴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업계와 부처 의견을 수렴해 이같은 내용들을 골자로 한 `클라우드산업 육성계획'을 이르면 연내에 발표할 계획이다.
21일 김정삼 미래부 인터넷신산업팀장은 미래부 주최로 서울 양재동 더케이서울호텔에서 열린 `더 클라우드 2013' 행사에서 "지난달부터 클라우드 관련 미래부 산하기관 담당자들과 협회 관계자들이 모여 클라우드산업 육성계획 초안을 마련했다"며 "다음주부터 보완작업과 관계부처 의견수렴을 거쳐 빠르면 연내에 계획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미래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인터넷진흥원 등에서 발표한 계획 초안에 따르면 정부는 △지나친 외산 의존도 줄이기 △공공시장 창출 △민간 이용 유도 등 세 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산업 육성을 이끌 계획이다.
우선 클라우드 플랫폼의 외산 비율을 줄이기 위해 국산 플랫폼을 순차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안전행정부와 협의를 거쳐 현재 전자정부 프레임워크를 클라우드 플랫폼 방식으로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국내에 기술력을 가진 중소 SW기업들이 협업할 수 있도록 지원센터와 협동조합(또는 브로커) 지원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시장 창출을 위해서 현재 국회에 계류중인 클라우드법 통과와 별도로 전국 1000여개 산업단지의 정보화 시설이나 솔루션들을 클라우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시범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밖에 미래부는 △클라우드 기반 신규 융합서비스 창출 △실무, 고급 클라우드 인재 양성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클러스터 육성 등에 나설 계획이다.
박일준 미래부 소프트웨어정책국장은 "현재 국회에 클라우드법을 제출해놨지만, 이와 별도로 클라우드 산업을 제대로 키워나가기 위한 정책들을 체계적으로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다"며 "산업 육성을 위해 정책 큰 흐름을 잡고, 예산을 투입하고, 정책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