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클라우드컴퓨팅연구조합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작성일 : 13-11-22 09:24
[머니투데이] 일자리 50만개↑, GDP37조↑…기특한 빅데이터
 글쓴이 : 최고관리자
조회 : 2,007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3112115425325240&outl… [4216]
#심야시간, 서울 시민들은 주로 어디에서 놀까. 시민들이 자정부터 새벽 5시까지 심야시간대에 사용한 휴대폰 콜데이터 30억여건을 분석한 결과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홍대. 뒤이어 동대문, 신림역, 강남, 종로, 가락시장, 신촌, 남부터미널, 건대입구, 압구정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시민들이 이용한 심야택시 승하차 데이터 500만건을 분석하자 강남, 신림역, 홍대, 건대입구, 동대문, 강북구청, 신촌 등의 순으로 교통수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빅데이터를 융합하자 서울시 심야버스가 어디를 지나야 할 지 찾아낼 수 있게 됐다. 올해 4월부터 심야버스 노선 2개가 시범 운영됐고, 시민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자 9월부터는 9개 노선으로 확대 운영 중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심야버스는 안전행정부가 주최한 '지방행정정보화 연찬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빅데이터 관련 정부 정책 연혁/자료= 각 부처
'21세기의 원유'라고까지 불릴 정도로 가치를 인정받은 빅데이터. 미국, 일본, EU 등 주요국들은 일찍부터 국가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개방하고, 개방된 데이터의 민간 부문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진흥 정책을 수립해왔다. 또 보유 데이터 개방에 그치지 않고 정부기관이 직접 데이터를 활용해 정부서비스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는 공통적인 행보도 보여주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1년 중반부터 빅데이터 논의가 본격화 되서 2012년 말 '빅데이터 마스터플랜'을 통해 구체화됐다. 빅데이터 마스터플랜안은 △선제적 사회현안 해결 △맞품형 대국민 서비스 △데이터기반 정책수립 지원 △빅데이터 신성장동력 창출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7년까지 기반 조성을 위해 4개 영역 12개 세부과제를 정하고, 정부와 민간이 총 5000억원을 투입하는 계획이다.
◇일자리 창출·비용절감…빅데이터에 거는 기대= 정부가 빅데이터 산업에 막대한 돈을 투입하는 것은 전세계적인 기조에 따른 것일 뿐만 아니라 빅데이터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올해 4월 내놓은 전망치에 따르면 빅데이터 국내 전체시장규모는 2015년 2억6300만달러로, 2020년까지 9억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국내IT시장에서 빅데이터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도 2013년 0.6%에서 2020년에는 2.6%까지 증가할 것이란 분석이다.
 
2015~2020년 국내 빅데이터 시장 전망/자료=KISDI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달 공공 및 민간 빅데이터 서비스 도입을 촉진하고 데이터 기반 창조경제와 정부 3.0 실현을 위한 '빅데이터 분석센터'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인터넷 신산업 육성의 주요 핵심과제로 빅데이터 산업을 꼽은 것이다. 빅데이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는 내년부터 36억5000만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기대를 걸고 있는 분야는 빅데이터를 통한 신규일자리 창출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에 따르면 국내 빅데이터 산업은 2013년에서 2017년까지 약 52만개의 추가 일자리를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빅데이터 공공서비스에 제대로 활용하려면=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부가 마련한 '빅데이터 마스터플랜'이 기대대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데이터'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빅데이터란 기존에 없었던 전혀 새로운 데이터가 아니다. 과거에는 '쓸모없는 것'으로 여기고 흘려보냈던 각종 데이터 속에서 새롭게 가치를 창출해내는 것이 빅데이터의 활용이다. 즉 공공데이터 뿐 아니라 많은 민간 데이터들도 모두 고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국가적 자산이 될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부족하다는 것.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가 지난해 240개 기업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빅데이터 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52개 공공기관 중 분석전담 인력을 보유한 기관 수는 13개에 머물렀다.
 
정부기관을 포함한 민간기업에서도 빅데이터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조사대상 중 빅데이터를 '전혀 모른다'는 대답이 40.4%, '이름만 들어봤다'는 응답이 36.3%에 달했다. 빅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관은 2.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데이터 개방을 통한 맞춤형 공공서비스 도입 등을 위해서는 수집과 이용, 활용, 파기, 저작권
정부는 빅데이터의 활용으로 연간 GDP(국내총생산) 37조원에 달하는 경제효과가 발생하고, 공공부문에서만 10조원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등 개인정보보호와 데이터 공개 비용 등 빅데이터 시대에 맞는 법제도 정비 논의가 절실하다는 설명이다.
정용찬 KISDI 연구위원은 '빅데이터 혁명과 미디어 정책 이슈' 보고서를 통해 "정책기관은 빅데이터 생태계 환경의 선순환을 돕는 '촉매자'이자 '중재자'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며 "공공과 민간부문 데이터 공유와 활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정부 데이터 공개가 우선되어야 하고, 빅데이터 기반의 제품과 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개발과 R&D정책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