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공공부문 빅데이터 사업은 건수는 줄었지만 관련 예산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7일 미래창조과학부의 공공부문 SW사업 수요예보 조사결과와 안전행정부의 빅데이터 확대 방안에 따르면 올해 빅데이터 관련 사업은 총 38건에 사업 예산은 556억여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나라장터를 통해 발주된 사업들이 총 44건, 224억원 규모였던 것과 비교하면 사업건수는 다소 줄어들었지만 사업규모는 크게 늘어났다.
올해 공공부문 빅데이터 사업 중 중앙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추진하는 사업이 21건, 지자체가 17건이다. 지난해 중앙정부 및 공공기관이 41건, 지자체가 3건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중앙정부 및 공공기관의 건수가 크게 줄어든 반면 지자체는 사업 건수가 크게 늘었다.
올해 공공부문 빅데이터 사업, 건수 줄지만 사업비 크게 늘어,빅데이터,공공시장,행정안전부,미래창조과학부,행안부,미창부,,컴퓨터,미디어잇, 뉴스, 신상품 뉴스, 신상품 소식, 상품 리뷰, 제품 리뷰, 상품 인기순위, 쇼핑뉴스, 뉴스 사이트, 뉴스 싸이트, 쇼핑, 온라인쇼핑, 쇼핑, 구매후기, 동영상, 리뷰 동영상, 신제품 정보, 쇼핑방송
특히 지난해 지자체 중 서울특별시만이 중점적으로 사업을 진행했던 것에 비해 올해는 서울시를 비롯해 경상북도와 대전시, 제주도, 경기도 등의 지자체들이 빅데이터 사업에 출사표를 던지고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이처럼 공공부문에서 빅데이터 활용이 늘어난 것은 많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산성을 향상시켜 문제를 해결하고 국민의 니즈를 반영하는 스마트한 정부로 가기 위함이다. 지자체들 역시 빅데이터를 행정업무에 도입하면 오류를 줄이고 신뢰행정을 펼쳐나갈 수 있다는 기대감에 따른 확대로 해석된다.
이를 반영하듯 앞으로 국가 정책수립, 대국민 서비스(복지, 창업지원) 및 사회현안 대응(치안, 사이버 공격) 등 국정운영 전반에 빅데이터 활용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특히 정부는 2017년까지 97개 빅데이터 활용사업을 추진해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정책수립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공공 및 민간의 공개된 데이터를 수집/분석하는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관계부처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은 “빅데이터 활용으로 정부 3.0의 핵심인 국민 맞춤형, 지능형 서비스 제공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빅데이터 활용을 적극 확산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