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재난안전 영역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전략 구상에 돌입했다. 전국에 설치된 폐쇄회로TV(CCTV)나 기상, 해양관측 기구가 만들어내는 정보를 분석해 재난 예방과 대응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국민안전처와 미래창조과학부는 재난 안전을 위한 IoT 적용 방안 및 시범 사업을 진행한다고 6일 밝혔다.
IoT는 수많은 센서 데이터를 모아 의미 있는 데이터를 추출한다는 의미에서 전 산업 영역에서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는 재난안전 영역에서도 차츰 연구되고 있는데, IoT를 적용할 경우 자연재해나 재난, 기후변화 등을 관측하고 선제 대응까지 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IoT 기술을 재난 감지 및 현장대응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에 착수했다. 이번에 추진하는 'IoT기반 3차원 센서 데이터 관리 및 구현기술 개발 사업'은 CCTV나 기상 및 해양관측 기구, 산업재해 방지를 위한 센서 등이 생산하는 데이터를 취합하고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 플랫폼 개발 방안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재난안전연구원은 올 연말까지 전국의 재난 관련 센서 현황을 파악하고 활용 가능한 센서 데이터를 분류한 뒤 이를 재난현장 대응 시스템과 연계·통합하는 방법을 연구할 예정이다. 특히 생성된 센서 데이터를 CCTV나 공간정보와 결합해 3차원 현장정보로 나타냄으로써 신속한 현장대응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재난안전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급부상하고 있는 IoT 영역을 재난안전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첫 연구과제"라며 "전국의 재난 센서가 생산하는 데이터를 통합하고 대응 시스템과 연계해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미래부도 올 연말 전국 CCTV를 연계한 재난대응 시스템 구축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 CCTV와 재난대응 현장인력의 통신기기(스마트폰, 스마트 안경)를 연동해 지휘통제실에서도 실시간으로 현장 상황을 파악해 통제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이는 지난해 말 제16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과학기술을 이용한 효과적인 재난대응 방안을 마련하라는 지시에 따른 후속조치로, 올 연말 안에 시범 도시를 선정해 선행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유성완 미래부 융합신산업과장은 "재난에 대비해 CCTV를 하나의 센서로 활용해 현장 인력의 스마트 기기와 연동해 지휘통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이 밖에 무인 항공기 드론 등을 활용한 재난 IoT 개발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