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 시대…IPv6 전환 서둘러야 하는 이유
인터넷 주소자원 고갈 '임박'...무한대 주소 체계 준비해야
박수형 기자 (psooh@zdnet.co.kr)
[2015.12.31]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주요국가에서 지난 1981년 개발된 IPv4 인터넷 주소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IPv4는 2의 32제곱, 즉 43억개의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적지 않은 수로 보이지만, 인터넷 서비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이미 바닥을 드러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새로운 인터넷 주소체계가 IPv6다. IPv6는 1998년 개발한 차세대 인터넷 주소체계로 기존 32비트에서 128비트로 늘린 방식이다. IPv6에서 생성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가 43억개인데 반해 43억에 43억을 네 번이나 곱해야 한다. 사실상 무한대라는 뜻이다.
답보상태에 있던 IPv6 전환작업은 내년 1월, KT LTE망을 통해 접속하는 네이버에 IPv6가 적용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을 전망이다. LG유플러스도 준비중이다. 앞서 SK텔레콤은 카카오(당시 다음커뮤니케이션)와 IPv6 서비스를 시작한 바 있다.
기사 상세 내용 보기_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