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활용률 1% 올리면 2030년까지 15조달러 창출"
현대경제硏…"데이터 기반의 경제적 부 창출 정책 필요"
박의래 기자 laecorp@yna.co.kr
[2016.8.30.]
(서울=연합뉴스) 박의래 기자 = 급증하는 데이터 활용률을 1%만 올려도 2030년까지 전 세계 총생산(GDP)은 15조 달러가 늘어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이 30일 발표한 '데이터, 빅 이코노미 실현'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전 세계 데이터는 연평균 51% 증가했다. 이 중 90%가 2014∼2015년 사이에 생성됐다.
사물인터넷이 확장되고 제4차 산업 혁명이 전개되면 데이터는 더욱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급증하는 데이터를 산업이나 사회적 현안을 해소하는 데 활용하면 경제 성장에도 큰 역할을 할 전망이다.
특히 헬스케어와 수송, 에너지·환경, 제조, 금융, 농업은 데이터 수집과 분석, 활용, 이용자 확대 등 데이터를 통한 경제적 이득 창출이 가장 많을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다.
이들 분야는 효과적인 데이터 이용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향후 4년간 1조6천억 달러의 이득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략>
데이터를 활용한다고 해도 빅데이터나 인공지능 등 개별 이슈에만 접근하고 있지 이를 아우르며 데이터 자체로 가치를 창출하고 관련 디지털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등의 데이터 기반 경제(DDE·Data Driven Economy)에는 제대로 접근하는 정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 주요 선진국은 데이터 기반 경제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이 나오고 있다.
<중략>
유럽연합(EU)은 2014년부터 3개년 계획으로 데이터 시장 현황을 파악하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측정하고 있다.
<중략>
일본은 제4차 산업 혁명의 핵심이 데이터 활용 촉진인 것을 명시하고 데이터 이용 환경을 정비하는 것을 첫 번째 전략으로 삼고 있다.
<중략>
미국은 2012∼2022년 사이에 데이터 전문가가 17%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는 같은 기간 총 고용 증가율 전망치(11%)보다 6%포인트 많은 수치다.
<중략>
이장균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데이터 기반 경제와 관련된 일부 이슈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지만, 기업의 데이터 활용도가 극히 낮고 미시적 시각에서만 개발하고 있다"며 "제4차 산업 혁명 시기를 대비해 경제 전반에 걸쳐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제적인 부를 창출하는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사 상세 내용 보기_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