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고속도로 5000㎞시대 개막…인공지능도로 기반 마련
신현우 기자
[2016.8.30.]

2020년이면 고속도로 5000㎞ 시대가 열린다. 전국의 고속도로는 차세대지능형교통체계(C-ITS)·스마트톨링시스템을 갖춘 스마트하이웨이로 변신한다. 특히 인공지능(AI) 도로의 기반도 마련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으로 '제1차 국가도로종합계획'을 확정하고 오는 31일 고시한다고 30일 밝혔다.
국가도로종합계획은 도로정책의 기본목표·추진방향, 국가간선도로망의 건설·관리 투자방향 등을 제시하는 도로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이번 계획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국가 도로사업에 72조원(국고 37조원, 도로공사+민자사업자 35조원)이 투입된다.
우선 현재 4193㎞(개통 기준)인 고속도로를 2020년까지 5075㎞로 확장한다. 이를 통해 전 국토의 78%, 인구의 96%가 30분 안에 고속도로에 접근할 수 있는 교통환경을 조성한다.
<중략>
2017년까지 C-ITS 시범사업(세종-대전간)을 완료하고 2020년까지는 모든 고속도로에 C-ITS를 조성한다. C-ITS는 차량간, 차량-도로간 교통정보를 주고받아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이다.
주유소·주차장 이용 요금을 하이패스로 바로 결제할 수 있는 '하이패스 페이(Pay)'를 도입하고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해 하이패스 주차장·도심 주요시설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도 제공한다.
<중략>
이번 계획에는 자율주행, AI, 환경, 에너지, 통일 등의 이슈에 대응하는 '미래도로 정책방향'도 담겼다. 2035년까지 도시부 도로까지 완전 자율주행 인프라를 구축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교통관리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도로를 실현해 나갈 계획이다.
<중략>
AI, 로봇 등을 활용해 유지관리를 자동화하고 파손된 포장 등을 스스로 복구하는 자기치유형 도로 소재도 개발한다. 소음·분진·진동이 없는 생활친화형 도로를 개발하고 조립식 도로 등 새로운 건설기술을 연구한다. 통일시대 한반도 도로망·유라시아 일일 생활권 구축 방안 등도 논의할 계획이다.
기사 상세 내용 보기_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