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공단과 심사평가원이 건강보험 환자 정보를 바탕으로 방대한 '빅데이터' 공개를 위한 장기 계획을 앞다퉈 공개하고 나섰다.
단일보험인 건강보험 가입자의 병력과 자격, 소득수준 등 세계 유례없는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영향력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지만 기관 간 자료 융합도 관건이다.
건보공단과 심사평가원은 지난 23일과 25일 각각 기관별 빅데이터 제공 방안을 공개하고 상호 유사점과 차이점, 과제를 모색했다.
양 기관은 인구학적 정보(환자)에 기반해 성별과 연령대별로 정형화되지 않은 건강보험 DB를 분석,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환자 제공 정보의 경우 건보공단은 건강보험 표본 코호트와 희귀질병 DB, 건강검진 DB 총 3개 종류로 구분하고 자격과 소득수준 정보를 가미해 분석을 정교화 시킬 수 있다.
심평원 빅데이터는 청구명세서를 바탕으로 개인별 맞춤형 진료 서비스와 병원별 정보, 의약품, 장비 정보 등을 함께 분석해 제공하는 등 다각화시킬 계획이다.
방대한 자료 무기 '정부 3.0' 국가 미래전략 흐름 편승
양 기관에 불어닥친 '빅데이터' 바람은 박근혜 정부가 내세우는 '정부 3.0' 정책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정부 3.0'이란 일방향 이었던 1.0을 넘어 쌍방향이었던 2.0을 실현한 현재, 맞춤형 시대를 달성하기 위해 새 정부가 내세운 버전으로, 정부·공공기관의 정보공개가 큰 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가 미래전략과 위기대응 전략 수립 과제는 범정부적 과제로, 보건의료정책 분야의 경우 지식기반 정책 수립과 산업 활성화, 개인 맞춤형 서비스 달성이 목표라는 점을 미뤄볼 때 건강보험 빅데이터는 규모나 활용도 면에서 정부와 학계 등의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다.
23일 건보공단 빅데이터 세미나 토론회에 참석한 김현곤 한국정보화진흥원 국가정보화지원단장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는 새 정부가 내건 '3.0'에 부합하는 사례로, 가장 빨리 성공 사례를 만들어 영향력을 미칠 좋은 모델"이라고 기대했다.
실제로 양 기관은 지난 해 4월 한국정보화진흥원을 주축으로 발족한 '빅데이터 국가전략 포럼'에 참여기관으로 활동하고 있을 만큼 빅데이터에 열을 올리고 있다.
기관 간 DB 융합이 '빅데이터' 관건
그만큼 빅데이터는 비정형화 단계의 자료들을 이용해 진일보한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인정보보호 외에도 양 기관, 또는 타 기관과의 데이터 융합이 관건이다.
무엇보다 건보공단과 심평원 간 자료 융합을 통해 지역별, 연령별, 계층별 질병정보를 분석해 개인별 예측 가능한 맞춤 의료 서비스를 도출하는 등, 다양한 결과물을 낼 수 있어 정보 교류가 필요하다는 것이 양 기관의 견해다.
심평원 관계자는 "지식기반 DB를 상호 교류해 정보를 가공한다면 개인 맞춤형 진료와 조회, 예측 가능한 건강관리가 전국적으로 가능해진다"며 "정보연계 MOU가 체결돼 있기 때문에 상호 교류를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