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데이터센터를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 지원을 본격화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지식경제부는 오는 3월 중 국내 데이터센터 산업 육성을 위한 데이터센터 산업 활성화 방안을 수립하고,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최대 5년간 진행될 이번 사업은 국내 데이터센터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데이터센터 구축ㆍ수출 모델 발굴 △산업분류코드 부여 △데이터센터 운영과 구축을 위한 전문 인력양성 △데이터센터 산업 육성을 위한 법제도 개선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현재 IT서비스산업협회가 정책안을 마련하고 있고, 지경부와 협의해 늦어도 3월 안에는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가 국내 데이터센터 산업 육성에 나선 것은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컴퓨팅이 확산되면서 이를 뒷받침할 인프라로 데이터센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데이터센터 등도 전기료 감면 등을 목적으로 산업으로 분류하는 것을 꾸준히 요구해 왔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은 2010년 9828억원 규모에서 2015년에는 2조3000억원 이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데이터로 인해 데이터센터 수요는 더 커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하지만 시장이 성장하면서 전력소모가 많은 데이터센터의 특성상 `전기 먹는 하마'에 비유되며, 정부로부터 지속적으로 에너지 절감 압박을 받았다. 실제 수도권 데이터센터는 지난해부터 지식서비스 특례요금 적용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전기료 압박이 거세졌다.
업계는 데이터센터의 경우 산업전반에서 인터넷 사업과 서비스 제공의 핵심 기반 시설이라는 점을 내세워 정부의 지원을 요구해 왔다. 특히 법 개정을 통해 현재 서비스 임대산업으로 분류된 데이터센터를 독자적인 산업으로 지정하고, 전기세 감면과 같은 체계적인 산업 지원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정부도 데이터센터가 국가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업계의 애로사항을 고려해 산업 육성책을 마련하고 있다.
서성일 지경부 정보통신산업과장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데이터센터는 핵심 영역 중 하나"라며 "정부가 바뀌더라도 핵심 산업을 육성하는 지침에는 변화가 없는 만큼 꾸준히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업계도 정부가 추진하는 중장기 지원 방안에 대해 기대감을 나타냈다.
한 데이터센터 업계 관계자는 "국내 데이터센터산업은 산업분류 체계에 등록되지 않아 시장 현황 파악도 힘들었다"며 "국내 산업발전에 주는 도움보다는 `전기 먹는 하마'라는 비판에만 시달려 힘들었는데, 이번 지원으로 산업발전과 일반인들의 데이터센터에 대한 인식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