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가 국가와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혁신 도구로 주목받으면서, 세계적으로 이를 활용할 전문 인력 확보에 분주하다. 우리나라 역시 빅데이터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데이터과학자'라고 불리는 전문 인력 양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과 영국, 일본 등 선진국들은 빅데이터를 다각적으로 분석해 조직의 전략방향을 제시하는 데이터과학자 양성에 사활을 걸고 있다.
반면 국내는 정부와 일부 기업이 데이터과학자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지만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한 수준이라는 평가다.
데이터과학자란 대량의 데이터 속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찾아 분석하고, 조직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놓는 직업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통계학에 대한 지식과 비즈니스 컨설팅에 대한 이해, 데이터 분석을 위한 설계 기법 활용 등 전문적인 역량이 필요하다.
특히 정부와 기업이 생산성 향상을 위해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면서, 전문 인력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실제로 기업들은 경영전략에 빅데이터를 도입해 수익을 늘리고 있고, 공공기관에서도 활발히 도입을 진행 중에 있다.
국내의 경우 공공 분야에서만 빅데이터 활용 효과가 10조원 이상이 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있을 정도로 전망이 밝은 상황이다.
빅데이터의 활용이 공공, 민간 구분 없이 확대되고 있지만 전문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 오는 2018 년까지 14만∼19만명의 고급 분석인력과 150만명의 데이터 관리자가 부족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역시 데이터과학자라고 불릴만한 박사급 전문 인력이 채 50명도 안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미국 오바마 정부는 지난해 `빅데이터 R&D 이니셔티브'를 구성하고, 인력양성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 계획을 내놨다. 영국과 일본, 싱가포르 역시 빅데이터 인력 양성을 국가차원에서 지원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반해 국내 상황은 걸음마 수준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현재 국내 인력양성 수준은 IT부서 직원들이 EMC나 SAS 등 글로벌업체의 단기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전문인력 양성보다는 기존 IT 기술자들을 경영학, 통계학, 해석학 등 강좌를 단기간 수강하게 한 뒤 이를 활용한다는 것이어서, 임시적인 처방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장기적인 인력 양성 차원에서 산ㆍ학ㆍ연ㆍ관이 합동으로 데이터과학자 양성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처음 개설한 빅데이터 인력 양성 과정인 충북대학교 비즈니스 데이터융학학과 석사과정이 대표적이다.
지식경제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지원하는 이 과정은 현재 경영정보학, 정보통계학, SW공학 등을 전공한 교수와 업계 전문가가 참여해 데이터과학자를 육성하고 있다. 특히 입학과 동시에 협약을 맺은 업체에 채용이 이뤄져, 기업이 요구하는 맞춤형 교육이 진행되는 장점이 있다.
정부 역시 지난해 빅데이터 마스터플랜을 세워, 5개 부처가 합동으로 빅데이터 적용을 위한 전략 수립에 나섰다. 특히 데이터과학자 양성을 위해 전문 대학원 설치와 자격증제도 신설 등을 추진 중에 있다.
이건명 충북대 비즈니스데이터융합학과 교수는 "기업차원에서 이뤄지는 단기 교육과정은 빅데이터 전문가를 양성하기에 한계가 있다"며 "학교에서 전문적인 교육이 이뤄진 상황에서 기업의 단기교육과정이 재교육 형태로 진행된다면 바람직한 방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