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테라데이타(
www.teradata.kr)는 기존의 트랜잭션 데이터와 상세한 상호작용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에 대한 360도 뷰를 제공하는 ‘CSP 차세대 분석 프레임워크(Teradata CSP Next Generation Analytics Framework)’를 발표했다.
‘테라데이타 CSP 차세대 분석 프레임워크’는 모든 데이터 상호작용에 가시성을 제공해 통신서비스 제공업체(CSP)들이 고객 행동 및 제품 선호도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통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해준다. 이 프레임워크에는 통신서비스 제공업체(CSP)들의 서비스, 네트워크, 기기, 위치, 소셜 네트워크 디지털 마케팅, 가입자와의 e커머스 상호작용에 대한 상세 정보가 포함돼 있다.
통신서비스 제공업체(CSP)들은 고객 행동에 대한 심층적인 데이터 가시성을 통해 신규 서비스를 발굴하고, 기존 인프라 및 프로세스, 데이터를 화폐화(monetize) 할 수 있으며, 보다 개인화되고 탁월한 고객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운영비(OPEX)와 자본비(CAPEX)를 절감하고 뛰어난 시장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테라데이타의 ‘CSP 차세대 분석 프레임워크’는 마케팅 의사결정 애플리케이션인 ‘구아부스(Guavus,
www.guavus.com)’의 ‘세븐플로(SevenFlow)’와 같은 파트너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가입자 행동 및 데이터 사용에 대한 심층적 통찰력을 제공한다.
스트럭처형 데이터와 멀티-스트럭처형 데이터 모두를 캡처해 분석하는 테라데이타 통합 데이터 아키텍처(Teradata Unified Data Architecture)와 더불어, 차세대 분석 프레임워크는 경쟁업체와 차별화된 비즈니스 통찰력과 시장 통찰력을 제공한다. 테라데이타의 통합 데이터 아키텍처(Teradata Unified Data Architecture)는 멀티 스트럭처형 데이터에 대한 신속한 분석을 위해 하둡 및 애스터의 SQL 맵리듀스 플랫폼을 모두 포함한다.
테라데이타의 통신 산업 마케팅 및 전략을 담당하고 있는 스콧 소버스는 “기존의 트랜잭션 데이터와 멀티-스트럭처형 상호작용 데이터를 활용해 고객에 대한 360도 뷰를 제공하는 업계 최초의 통합 CSP 솔루션을 발표하게 되어 기대가 매우 크다. 수많은 상위 기업들이 이미 테라데이타를 활용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소스를 자본화하려는 CSP에게 이 제품은 큰 영향력을 미치게 될 것이다”라며 “테라데이타의 전략은 고객들이 ‘전통적 방식의 분석’을 넘어 고급 분석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며, 고객들은 어디서도 접하지 못하는 ‘혁신적 분석’ 영역에서 테라데이타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editor@itworl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