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년 이후부터, 미국 메이저 케이블사업자(MSO)들을 중심으로 클라우드와 HTML5를 채택하는 움직임이 본격화 되고 있다. 셋톱박스 상에 존재해 왔던 DVR 기능, VoD 관리, 전자프로그램가이드(EPG), 미들웨어 기능 등을 클라우드로 옮기고, HTML5 기반으로 개발된 통합 솔루션을 통해 제공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유료방송 사업자들이 클라우드와 HTML5를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이유는 케이블망의 IP전환, 스마트폰과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 IP접속 단말에서 끊김 없고, 경계 없이 동질적인 서비스를 이용하기를 원하는 고객 수요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서 셋톱박스 교체 방식으로는 비용과 새로운 서비스 개발소요 시간 등에서 경쟁력을 갖기 힘들기 때문이다. 단말과 특정 플랫폼이 아닌, 경쟁력 있는 서비스와 콘텐츠가 중심이 되는 유료방송 산업 변화의 흐름에 있어 클라우드와 HTML5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 고객의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될 수 있는 환경설정 프레임워크를 제공 - 간편하고 손쉽게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ServerTemplate™ 를 통하여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환경설정 복잡도를 최소화 · 업무 효율성 증대를 위한 자동화 지원 - 강력한 통합 모니터링 및 오토스케일링 기능을 통하여 업무 효율성 증대 및 서비스 확장성 보장 · 모든 클라우드를 한 곳에서 관리 - 전세계 클라우드 자원에 대한 통합 거버넌스 컨트롤 및 총 소요비용에 대한 예측과 추이 분석가능 ·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사이 통합 환경설정 및 상호운영성 확보